https://youtu.be/mBr2djWKa_k?si=0TMPGNDoiUHGDkAK
별이 되지 않아도 돼. 이 곡은 수많은 감정을 가지게 만드는 노래이다. 남들과 비교하여 떨어지는 내가 너무 별거 아닌 거 같고, 우울하고 힘든 나날들을 보내는 순간이 많다. 이 순간들에 느끼는 죄책감, 좌절 쓸쓸하고 무료한 날들에 위로가 되는 노래라고 말할 수 있을 거 같다. 또한 나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감정을 느끼고 살아가는 것에 대해 살짝은 안심도 되는 것 같다. 내 마음처럼 큰 파도가 요동치는 느낌이 아니라 해변 위 잔잔하게 치는 작은 파도처럼 잔잔한 멜로디덕에 나를 다독여 주는 것 같고, 여러 사람들에게 위로와 공감을 줄 수 있는 노래라고 생각한다.
이 노래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많은 가사에서 찾을 수 있다. 도입 부분에 나오는 “빛나는 별을 찾지 않아도 돼”라는 가사가 눈에 들어왔다. 이 가사에서의 별은 위대함, 성공, 꿈 등을 상징하는 관습상징의 표현을 지니고 있다. 남들과 비교하여 완벽함을 추구하기 보다는, 자신의 본 모습 자체로 인정받고 받아들이자는 메시지와 따뜻한 마음을 담고 있다. 또한 굳이 따라가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전하며,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삶의 방식을 강조하고 존중하고 있다. 이 가사는 남보다는 나 자신을 위로할 때 사용할 수 있을 거 같다. 내가 남들보다 좀 뒤처지고 불안한 마음이 생길때 이 가사를 떠올리며 나만의 속도로, 내 방식으로 나아갈 수 있게 힘이 될 수 있을 거 같다.
두 번째 가사는 “어두워도 괜찮아”라는 가사이다. 이 가사는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대중적인 표현으로 원형 상징을 지니고 있다. 어둠은 유쾌하고 밝음과는 반대로 고통, 두려움을 상징하며 말하고 있다. 어두운 문구 뒤에 괜찮아 가 오면서 희망을 주는 메시지라고 생각한다. 뒤에 괜찮아가 사용되어 ‘컴컴한 고통과 두려움이 와도 이겨낼 수 있어 괜찮아 그 상황에 닥치더라도 해낼 수 있다’ 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는 것 같다. 또한 도전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들에게 이 메시지를 전해주고 싶다. 마지막 세 번째 가사는 “일이 하나도 안 풀리고, 세상은 마음처럼 하나도 쉽지 않고, 어제와 똑같이 반복되는 일상 속에”등 모든 가사들이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말들로 구성되어 있다. 엄청 멋있게 꾸미지 않은 말들이지만 모두가 한번씩 생각하고 혼자가 자책했을 내용, 머리속으로만 생각하고 생각에 잠겼을 말들을 해줌으로써 공감이 되었다.
내가 명대사라고 느낀 가장 인상적인 가사는 “너의 꿈이 아니어도 돼, 지금 네가 있는 곳이 너의 별이야.” 라는 부분이다. 이 가사는 얼핏보면 단순한 문장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무척 크다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이 ‘꿈’이라는 단어에 기대어 살아간다. 하지만 그 꿈은 때로는 나를 짓누르는 무거운 짐이 되기도 한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달리고, 목표를 향해 열심히 노력하지만, 원하는 곳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 나는 자신을 실패자라 여기며 자책한다. 나는 그런 순간이 정말 많았다. 매번 실기를 보러 가도 친구들은 다 붙을 때 나는 두세번이고 계속 떨어졌다. 또 같은 범위를 같이 공부하는데도 나만 항상 뛰떨어지는 거 같을 때, 그럴 때마다 나의 꿈은 점점 희미해지고 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여 나의 현재는 그저 실패한 결과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이 가사는 그런 나에게 말해주는 것 같다. 꿈을 이루지 못했더라도, 지금내가 서 있는 이 자리, 이 순간 자체가 나만의 별이라는 것을. 별처럼 반짝이지 않아도 군가의 시선을 끌지 않아도 괜찮다고. 다른 누군가와 비교하며 나의 가치를 찾으려 했던 그 동안의 모습에서 벗어나, 지금의 나를 인정하고 사랑하라는 위로가 느껴졌다. 꿈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내가 지금 있는 곳을 소중히 여기지 않는다면, 그 길은 끝내 나를 지치게 만들 뿐이라는 것을 느꼈다. 특히 “네가 가고 있는 길이 틀리지 않았음을 믿어줘.” 라는 듯의 가사 역시 큰 울림을 주었다. 내가 걷고 있는 이 길이 남들과 다르다고 해서 잘못된 길이 아니며, 조금 늦더라도 결국 나만의 속도로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라는 말처럼 들렸다. 모든 사람이 별처럼 빛날 필요는 없다고 느꼈고, 누군가의 기준에 맞추기 위해 나를 억지로 바꾸기보다는, 지금의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내 자신을 믿어보자 라는 메세지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이 곡의 작사, 작곡, 보컬을 모두 담당한 109는 본명 김찬영으로 1995년 7월 23일생, 2015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충청남도 당진시 출신으로, 작사, 작곡은 물론 편곡, 연주, 보컬까지 모두 소화하는 다재다능한 아티스트이다. 대표곡으로는 ‘별이 되지 않아도 돼’, ‘니가 보고 싶을 때’, ‘괜찮은 것 같기도 해’ 등이 있으며, 109의 음악은 섬세한 감정과 진솔한 가사로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내가 109를 좋아하는 이유는 크게 그의 음악이 지닌 진정성과 감동 때문이다. 그의 노래는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들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특이 꿈을 향해 달려가는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를 전한다. 그의 음악을 들을 때마다 마치 내 마음을 읽고 위로해주는 친구와 대화를 하듯한 느낌을 받는다. 또한 109는 음악의 모든 과정을 직접 담당하며 자신만의 색깔을 확고하게 보여준다. 어떤 화려함이나 과장 없이 진실된 감정을 음악으로 전하려고 하고, 그의 음악을 듣다보면, 마치 나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해주는 것처럼 느껴진다. 또한 그는 단순히 음악을 만드는 아티스트가 아닌, 음악을 통해 자신만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그것을 사람들과 나누고자 하여 따뜻함과 편안함까지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점들이 내가 109를 좋아하고 그의음악에 빠져드는 이유이다. 또 109의 음악은 지친 일상 속에서 따뜻한 위로와 공감을 선사하며, 진솔한 가사와 감성적인 멜로디가 큰 힘과 감동을 주기에 빠져들 수 밖에 없었다.
'109의 별이 되지 않아도 돼'를 들으며 계속해서 생각나는 소설 책이 있었다. 별이 되지 않아도 돼에 별처럼 특별하게 빛나지 않아도 자신의 자리에서 소중한 가치를 발견하라는 메세지와 같이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은 깊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나미야 잡화점에서 등장인물들은 거창하거나 특별하지 않은 자신들의 고민을 편지로 나누며, 서로가 서로에게 작은 빛이 되어준다. 이 처럼 세상 모든 사람은 저마다 자신의 방식으로 반짝이는 빛을 내고 있고, 다른 이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은 우리가 보잘 것 없다고 느끼는 순간조차 누군가에게는 큰 의미로 다가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곡이 전하는 메시지처럼, 이 소설은 완벽하지 않은 삶 속에서도 자기만의 빛과 가치를 찾는 아름다움을 이야기하여 여러번이나 인상깊게 본 책이다.
마지막으로 이 곡을 누군가에게 추천해주고 싶다면 그건 지친 모든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왜냐하면 이 곡은 나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우리 더 빛나야 한다는 큰 강박에 시달리며 살아가고 남들보다 더 나은 모습, 더 대단한 성과를 보여야 한다고 스스로를 채찍질 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과정 속에서 지쳐버리기도 하고, 내가 정말 소중한 존재인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이 노래는 그런 우리에게 조용히 말을 걸어 주는 것 같다. “괜찮아. 넌 지금 그대로도 충분히 빛나고 있어”라고. 또 이 가사 한마디 한마디가 우리의 상처받은 마음을 어루만지고, 잊고 있었던 우리의 소중함을 다시 일깨워주는 따뜻한 위로이다. 이처럼 이 짧은 곡에서 큰 힘을 가질 수 있고, 그저 빛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말이 얼마나 우리에게 필요했는 지를 깨닫게 한다. 이 노래는 화려함과 완벽함만으로 쫓던 나에게 ‘있는 그대로의 나’를 사랑해도 괜찮다는 용기를 주었으며, 마치 깊은 밤하늘 속 작은 별빛처럼 조용히 나의 마음속에 자리 잡은 노래이기에 이 곡이 나에게 그랬던 것처럼, 많은 이들에게도 위로의 빛이 되어주길 바라는 마음에 추천하고 싶었다.
'내 인생의 케이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어진다면 나와 장거리 연애를 하게 될 미래의 남친에게! (1) | 2025.01.13 |
---|---|
The end of the day (1) | 2025.01.13 |
이별을 사랑할 수는 없지만 이별의 순간까지도 그저 너를 사랑한다 (9) | 2025.01.10 |
나처럼 텅 빈 가슴 안고 사는구나 (6) | 2025.01.10 |
인생은 신호등처럼 (2)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