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헤어진 다음 날. 나는 외로운가. 고독한가. 수업시나리오. 교사가 지치지 않는 수업.

by 라이팅 매니저 2025. 5. 4.
728x90
반응형

산유화. 김소월

김소월 시인님의 시에요.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산유화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요.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 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이 시 한번 살펴볼게요

먼저 이 시에서 여러분이 모를 만한 낱말이 '갈'입니다.

여기서 갈은 '가을'을 줄인 거예요.

그래서 가을 봄 여름 없이 이런 말이라는 걸 미리 이해해 두시고요 

먼저 기본 내용 파악해 보죠

 

산에 꽃이 피네. 매일. 저만치 혼자서 꽃이 피어 있어요. 

저만치 뚝뚝뚝 떨어져서. 그렇죠. 산이니까.

근데 새가 있네. 보니까 새가 꽃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그런가 보네요.

그리고 또 산에는 꽃이 지겠죠. 매일 꽃이 폈으니까 지겠지. 그런 내용입니다. 이게 뭐야 좀 더 깊이 있게 들어가 보죠. 

 

 

 2단계는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볼 텐데 

이 시에서 꽃이 핀다는 걸 '태어난다'

'어떠한 생명이 탄생했다'라는 걸로 받아들여 보고 그다음에

'진다'는 것을 '죽는다' '소멸한다' '없어진다'라고 우리가 받아들이면

이 시는 우주에 대한, 어떤 생명에 대한 진실을 알게 해 주는 시가 되죠.

너무 추상적인가요? 혹은 그런 거는 너무 멀리 있는 얘기라고요?

물론 그렇지만, 추상은 절대 멀리 있지도 않고, 알 수 없는 개념도 아니에요.

죽음이란 너무나 매일, 너무나 사실적으로, 너무나 분명하게

매일매일 일어나고 있는 사건이거든요. 왜냐하면 오늘도 이 세계 어딘가에서는 몇십만 명이 죽었고 또 몇십만 명이 태어났고요.

그 중에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것은 죽음이죠.

지난 200만 년 동안 증명된 증거로 우리는 다 죽습니다. 너무나 분명하게.

내일 당장 어떤 일로 인해서든, 우리는, 죽을 수 있습니다. 이건,

분명한 사실이고 현실이에요. 지금 이 순간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고요.

산유화라는 이 시는

 그 명백한 사실에 대한 통찰 혹은 성찰의 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정리해 보면 

꽃은 태어나죠. 매일매일 태어나죠. 그리고 외롭게 태어나죠. 

저만치 혼자서 태어난 우리. 이 생명체 모든 존재들은 저만치

떨어져서 존재해요. 절대 서로 닿을 수 없는 거리에 있어요.

그러니, 외롭죠. 외로워요. 뚝뚝뚝 떨어져서 태어나요.

우리 중에 누구도, 서로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어요.

우리 중에 누구도 서로를 완벽하게 사랑할 수 없어요.

왜냐하면 인간은 근본적으로 외로운 존재거든요.

내 생각을 모두 다 여러분이 알 수 없죠. 

여러분의 생각을 모두 다 내가 알 수 없듯이.

여러분의 생각을 여러분의 부모님이 절대 알 수 없고

여러분 부모님의 걱정을 여러분이 절대 이해할 수 없죠.

여러분 친구들이 왜 그렇게 

나를 힘들게 하고 즐겁게 하고 아프게 하고 사랑하게 만드는지 

몰라요. 왜냐고요? 서로 저 멀리 떨어져 있으니까요.

더는 극복할 수 없는 거리를 유지한 채로 우리는 떨어져 있으니까요.

원래 그래요. 몰라요. 인간은 다 그렇게 뚝뚝뚝 떨어져서 살도록

근본적으로 그렇게 만들어졌어요. 

그런데 이렇게 저만치 외롭게 피어있는 그 꽃이 좋아서

이곳에 온 게 있어요. 그게 뭐냐면 

새에요.

새는 꽃이 좋아요.

근데 알아요. 새도 꽃이 좋다고 해서 

꽃 바로 옆에 딱 붙어가지고 있는 게 아니에요.

저 만치 혼자서 피어 있는 꽃들을, 새 역시, 저 만치 혼자서 보는 거예요.

그러니까 새는 외로운 존재가 아니에요. 새는 

고독한 존재죠.

외롭지만 외로운것으로 끝나는 존재와는 좀 달라요.

얼마든지 다른 곳에 갈 수도 있지만 굳이 내가

일부러 선택해서 이 꽃을 보러 온 거예요.

좁힐 수 없는 거리가 있다는 것도 다 알지만, 온 거에요. 이 거리도

괜찮아요. 이렇게 멀리서나마 볼 수 있다면.

이 외로움은 근본적으로 사라지지 않겠지만 하지만 

내가 선택한 거예요. 근본적으로 외로울수밖에 없다고 하더라도,

내가 선택한 거에요. 내가 사랑하는 사람 곁에

내가 있겠다고, 내가 아무리 사랑해도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모든 것을

알 수 없고,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없고, 모든 것을 공감할 수 없다 하더라도,

하지만 내가 선택했어요. 잘은 모르지만 감히 잘 안다고 할 수 없지만 

같이 살 거예요. 

같이 이해해 보려고 애쓸 거고,

같이 공감하려고 애쓸 거고,

같이 울어보려고 애쓸 거고, 그리고

같이 웃으려고 애쓸 거예요.

외로움을 인식하면서도 스스로 외로워지는 것.

그런 게 고독이에요. 

인간은 근본적으로 외롭다는 걸 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이 외로움을 감수하고 통찰하고 선택을 하는 거

그런 게 고독입니다. 

물론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로워하든 고독으로 나아가든,

사람은 매일 죽죠. 저도 죽을 거예요. 

저도 죽을 거고, 제 아내도 죽을 거고, 제 아들 솔도도 죽을 거고,

제 딸 미도도 죽을 거예요. 우리 엄마도 죽을 거고, 우리 장모님도 죽을 거고,

여러분도 다 죽겠죠. 알아요. 알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산이라고 하면 우리가 살고 있는 모든 세계,

모든 우주라고 할 수 있죠. 여기에서 꽃은

모든 생명체의 은유라고도 할 수 있겠고요.

피고 진다는 것은 태어남과 죽음이고요. 

이런 것들을 골똘히 생각하면서 읽어보면

굉장히 깊이 있는 시이죠. 참 대단한 시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시인데

여러분에게도 마음에 들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